- [성경본문] 이사야49:14-26 개역개정
-
14. 오직 시온이 이르기를 여호와께서 나를 버리시며 주께서 나를 잊으셨다 하였거니와
15. 여인이 어찌 그 젖 먹는 자식을 잊겠으며 자기 태에서 난 아들을 긍휼히 여기지 않겠느냐 그들은 혹시 잊을지라도 나는 너를 잊지 아니할 것이라
16. 내가 너를 내 손바닥에 새겼고 너의 성벽이 항상 내 앞에 있나니
17. 네 자녀들은 빨리 걸으며 너를 헐며 너를 황폐하게 하던 자들은 너를 떠나가리라
18. 네 눈을 들어 사방을 보라 그들이 다 모여 네게로 오느니라 나 여호와가 이르노라 내가 나의 삶으로 맹세하노니 네가 반드시 그 모든 무리를 장식처럼 몸에 차며 그것을 띠기를 신부처럼 할 것이라
19. 이는 네 황폐하고 적막한 곳들과 네 파멸을 당하였던 땅이 이제는 주민이 많아 좁게 될 것이며 너를 삼켰던 자들이 멀리 떠날 것이니라
20. 자식을 잃었을 때에 낳은 자녀가 후일에 네 귀에 말하기를 이곳이 내게 좁으니 넓혀서 내가 거주하게 하라 하리니
21. 그 때에 네가 네 마음에 이르기를 누가 나를 위하여 이들을 낳았는고 나는 자녀를 잃고 외로워졌으며 사로잡혀 유리하였거늘 이들을 누가 양육하였는고 나는 홀로 남았거늘 이들은 어디서 생겼는고 하리라
22. 주 여호와가 이같이 이르노라 내가 뭇 나라를 향하여 나의 손을 들고 민족들을 향하여 나의 기치를 세울 것이라 그들이 네 아들들을 품에 안고 네 딸들을 어깨에 메고 올 것이며
23. 왕들은 네 양부가 되며 왕비들은 네 유모가 될 것이며 그들이 얼굴을 땅에 대고 네게 절하고 네 발의 티끌을 핥을 것이니 네가 나를 여호와인 줄을 알리라 나를 바라는 자는 수치를 당하지 아니하리라
24. 용사가 빼앗은 것을 어떻게 도로 빼앗으며 승리자에게 사로잡힌 자를 어떻게 건져낼 수 있으랴
25.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노라 용사의 포로도 빼앗을 것이요 두려운 자의 빼앗은 것도 건져낼 것이니 이는 내가 너를 대적하는 자를 대적하고 네 자녀를 내가 구원할 것임이라
26. 내가 너를 억압하는 자들에게 자기의 살을 먹게 하며 새 술에 취함 같이 자기의 피에 취하게 하리니 모든 육체가 나 여호와는 네 구원자요 네 구속자요 야곱의 전능자인 줄 알리라
제공: 대한성서공회
성경매일묵상 (이사야 49장 14~26절)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사랑은 종종 부모의 사랑으로 비유되곤 했습니다. 그런데 과거엔 상상할 수 없었던 끔찍한 범죄가 가정 안에서 일어나는 요즘엔, 하나님의 사랑을 부모의 사랑에 비유하는 것이 적절한가 묻게 되지요. 그만큼 이 세대에는 하나님이 만드신 창조의 질서들이 무너져 가고 있습니다. 오늘 읽은 말씀은, '이스라엘'의 해방과 영광에 대한 약속인 동시에 '이스라엘'이 대표하는 모든 하나님의 자녀들이 사단의 권세로부터 해방되어 구원에 이르게 될 것과 구원의 공동체인 교회의 영광에 대한 예언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종종, '과연 하나님이 나의 형편을 알고는 계시는가?'라고 물을 때가 있습니다. 하나님의 백성이 되었다고는 하는데, 여전히 삶 속에 문제와 시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 질문에 대해 하나님은, "오직 시온이 이르기를 여호와께서 나를 버리시며 주께서 나를 잊으셨다 하였거니와 여인이 어찌 그 젖 먹는 자식을 잊겠으며 자기 태에서 난 아들을 긍휼히 여기지 않겠느냐 그들은 혹시 잊을지라도 나는 너를 잊지 아니할 것이라(사49:14~15)"라고 대답하십니다. 대부분의 경우, 자식은 부모를 잊어도 부모는 자식을 잊지 못합니다. 그러나 부모 중에도 자기의 유익을 위해서나 피치 못할 사정 때문에 자식을 버리는 이가 있습니다. 그럴지라도 하나님은 결코 자기 백성을 잊지 않는다는 거예요. 인간의 사랑은 불완전하지만, 하나님의 사랑은 완전하고 무한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예수님은, "나는 세상에 더 있지 아니하오나 그들은 세상에 있사옵고 나는 아버지께로 가옵나니 거룩하신 아버지여 내게 주신 아버지의 이름으로 그들을 보전하사 우리와 같이 그들도 하나가 되게 하옵소서(요17:11)"라고 기도하셨습니다. 하나님은 결코 나를 버리지 않으십니다. 아버지와 아들이 하나인 것처럼, 우리도 주님 안에서 하나님과 떨어질 수 없는 귀한 자녀가 되었다는 사실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 정구윤 목사
댓글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