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경본문] 예레미야9:23-26 개역개정
-
23.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되 지혜로운 자는 그의 지혜를 자랑하지 말라 용사는 그의 용맹을 자랑하지 말라 부자는 그의 부함을 자랑하지 말라
24. 자랑하는 자는 이것으로 자랑할지니 곧 명철하여 나를 아는 것과 나 여호와는 사랑과 정의와 공의를 땅에 행하는 자인 줄 깨닫는 것이라 나는 이 일을 기뻐하노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25.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보라 날이 이르면 할례 받은 자와 할례 받지 못한 자를 내가 다 벌하리니
26. 곧 애굽과 유다와 에돔과 암몬 자손과 모압과 및 광야에 살면서 살쩍을 깎은 자들에게라 무릇 모든 민족은 할례를 받지 못하였고 이스라엘은 마음에 할례를 받지 못하였느니라 하셨느니라
제공: 대한성서공회
성경매일묵상 (예레미야 9장 23~26절)
'할례'란,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언약 백성의 표식으로 주신 것으로, '이스라엘' 자손들은 모두 할례를 시행했습니다. 그런데 '이스라엘' 백성들은, 자신들은 할례 받은 하나님의 백성이기 때문에, 이방인들과 달리 무조건 구원 받을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선민의 외적인 표식이 구원을 보장하는 것으로 착각한 것이지요. 사정이 이렇다 보니, 그들은 악을 행하면서도 두려워하거나 회개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본문 25절에서 하나님은, "보라 날이 이르면 할례 받은 자와 할례 받지 못한 자를 내가 다 벌하리니(렘9:25)"라고 말씀하십니다. 그리고 그 이유에 대해, 그들이 마음의 할례를 받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하시지요. 외적인 할례는 종교적인 형식을 의미합니다. 이를테면, 예배나 세례, 성찬 등을 상징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을 향한 사랑과 진정한 헌신이 없다면, 종교적인 형식은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신앙은 형식도 필요하지만 내용이 더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마음의 할례를 받지 못했다는 것은, 과거에 받은 은혜로만 살아가는 신앙을 의미합니다.
우리가 날마다 주시는 은혜를 사모하고 겸손한 마음으로 서지 못할 때, 우리는 하나님 앞에서 교만해지고 외식하는 신앙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예수님은, "화 있을진저 너희 바리새인이여 너희가 박하와 운향과 모든 채소의 십일조는 드리되 공의와 하나님께 대한 사랑은 버리는도다 그러나 이것도 행하고 저것도 버리지 말아야 할지니라(눅11:42)"라고 말씀하신 것이지요. 신앙은 형식과 내용이 다 중요합니다. 오늘도 겸손히 마음의 할례를 받아, 오직 하나님의 은혜로만 살아가는 여러분이 되시기를 축복합니다. - 정구윤 목사
댓글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