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경본문] 사무엘하19:31-39 개역개정
-
31. 길르앗 사람 바르실래가 왕이 요단을 건너가게 하려고 로글림에서 내려와 함께 요단에 이르니
32. 바르실래는 매우 늙어 나이가 팔십 세라 그는 큰 부자이므로 왕이 마하나임에 머물 때에 그가 왕을 공궤하였더라
33. 왕이 바르실래에게 이르되 너는 나와 함께 건너가자 예루살렘에서 내가 너를 공궤하리라
34. 바르실래가 왕께 아뢰되 내 생명의 날이 얼마나 있사옵겠기에 어찌 왕과 함께 예루살렘으로 올라가리이까
35. 내 나이가 이제 팔십 세라 어떻게 좋고 흉한 것을 분간할 수 있사오며 음식의 맛을 알 수 있사오리이까 이 종이 어떻게 다시 노래하는 남자나 여인의 소리를 알아들을 수 있사오리이까 어찌하여 종이 내 주 왕께 아직도 누를 끼치리이까
36. 당신의 종은 왕을 모시고 요단을 건너려는 것뿐이거늘 왕께서 어찌하여 이같은 상으로 내게 갚으려 하시나이까
37. 청하건대 당신의 종을 돌려보내옵소서 내가 내 고향 부모의 묘 곁에서 죽으려 하나이다 그러나 왕의 종 김함이 여기 있사오니 청하건대 그가 내 주 왕과 함께 건너가게 하시옵고 왕의 처분대로 그에게 베푸소서 하니라
38. 왕이 대답하되 김함이 나와 함께 건너가리니 나는 네가 좋아하는 대로 그에게 베풀겠고 또 네가 내게 구하는 것은 다 너를 위하여 시행하리라 하니라
39. 백성이 다 요단을 건너매 왕도 건너가서 왕이 바르실래에게 입을 맞추고 그에게 복을 비니 그가 자기 곳으로 돌아가니라
제공: 대한성서공회
성경매일묵상 (사무엘하 19장 31~39절)
오늘 본문에 나오는 '바르실래'는 '압살롬'의 반역을 피해 도망가던 '다윗' 왕과 그 일행들을 극진히 섬겼던 사람입니다. '다윗' 왕 한 사람만 대접하고 섬기는 것은 큰 문제가 없을지 모릅니다. 하지만 사실상 왕궁에 있는 사람들이 통째로 옮겨간 것이나 다름이 없는 살림살이인데, 아무리 부자라고 하지만 얼마나 많은 재산이 축이 났겠습니까? 그래서인지 오늘 말씀에는, '다윗'이 그것을 매우 고맙게 여기고, “너는 나와 함께 건너가자 예루살렘에서 내가 너를 공궤하리라(삼하19:33)”고 말하지요. 그동안 '바르실래'의 정성어린 공궤를 귀하게 여긴 '다윗'은 그 은혜를 보답하고 싶었던 것입니다.
하지만 '바르실래'는 '다윗'의 제안을 정중히 거절하고 있습니다. 내가 왕을 공궤한 것은 당연한 일이요, 왕께서 공궤를 받으신 것도 당연한 일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바르실래는 자신의 나이가 80세이어서 이제 앞으로 살 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면서 자신이 왕을 따라가 왕의 짐이 되는 것은 옳지 않다며 사양합니다. 결국 '다윗'은 혼자 '예루살렘' 으로 돌아가지만 '바르실래'를 잊지 못합니다. 그래서 훗날 '솔로몬'에게 '바르실래'의 후손들을 잘 살피라는 유언을 남깁니다. 단지 한 순간의 고마움이 아니라 영원히 고마워하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도 이왕 누군가에게 기억되려면 죽는 순간까지도, 우리의 정성과 사랑의 마음 씀씀이가 기억되면 얼마나 좋을까요? 그래서 예수님은 "그러므로 무엇이든지 남에게 대접을 받고자 하는 대로 너희도 남을 대접하라 이것이 율법이요 선지자니라(마7:12)"고 말씀하셨습니다. '요압'이나 '시므이'처럼, '다윗'이 죽는 순간에, '그 놈들은 절대로 살려 두지 말라.'고 손가락질 받는 인생을 살아서는 안 될 것입니다. - 정구윤 목사
댓글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