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경본문] 사무엘하23:1-7 개역개정
-
1. 이는 다윗의 마지막 말이라 이새의 아들 다윗이 말함이여 높이 세워진 자, 야곱의 하나님께로부터 기름 부음 받은 자, 이스라엘의
2. 여호와의 영이 나를 통하여 말씀하심이여 그의 말씀이 내 혀에 있도다
3. 이스라엘의 하나님이 말씀하시며 이스라엘의 반석이 내게 이르시기를 사람을 공의로 다스리는 자, 하나님을 경외함으로 다스리는 자여
4. 그는 돋는 해의 아침 빛 같고 구름 없는 아침 같고 비 내린 후의 광선으로 땅에서 움이 돋는 새 풀 같으니라 하시도다
5. 내 집이 하나님 앞에 이같지 아니하냐 하나님이 나와 더불어 영원한 언약을 세우사 만사에 구비하고 견고하게 하셨으니 나의 모든 구원과 나의 모든 소원을 어찌 이루지 아니하시랴
6. 그러나 사악한 자는 다 내버려질 가시나무 같으니 이는 손으로 잡을 수 없음이로다
7. 그것들을 만지는 자는 철과 창자루를 가져야 하리니 그것들이 당장에 불살리리로다 하니라
제공: 대한성서공회
성경매일묵상 (사무엘하 23장 1~7절)
요한복음에는 십자가에서 마지막 순간을 맞이하시는 예수님께서, 제자 '요한'에게 당신의 어머니를 부탁하는 장면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어머니를 제자에게 부탁하는 주님의 심정이, 어쩌면 후손들에게 '하나님만이 반석이시며, 공의로 사람을 다스리시는 분'이라는 마지막 말을 남기고 있는 '다윗'의 마음일 것입니다. '이스라엘'의 통치자로서 '다윗'은, 어떤 비전을 제시해 주고 있습니까? 본문 5절을 보면, “내 집이 하나님 앞에 이같지 아니하냐 하나님이 나와 더불어 영원한 언약을 세우사 만사에 구비하고 견고하게 하셨으니 나의 모든 구원과 나의 모든 소원을 어찌 이루지 아니하시랴(삼하23:5)”고 하나님을 찬양하고 있지요.
비록 '다윗'의 삶에 죄악과 그로 인한 시련은 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윗'은 통치자로 살아올 수 있었고, 앞으로도 구원의 길을 걸어갈 것이라는 확신에 찬 고백입니다. '다윗'이 자기 인생을 돌아보니 모두가 하나님의 은혜였습니다. 오래 전에 하나님은 '야곱'을 통해 '유다'를 축복하시면서, “규가 유다를 떠나지 아니하며 통치자의 지팡이가 그 발 사이에서 떠나지 아니하기를 실로가 오시기까지 이르리니 그에게 모든 백성이 복종하리로다(창49:10)”고 말씀하셨고, 또 '다윗'에게 언약하시기를, “네 집과 네 나라가 내 앞에서 영원히 보전되고 네 왕위가 영원히 견고하리라(삼하7:16)”고 하셨는데, 그 약속을 모두 이뤄주셨기 때문입니다.
똑같이 왕으로 세움 받았지만, 하나님 말씀을 버린 '사울'은 하나님께 버림받았고, 하나님의 언약을 붙잡은 '다윗'은 끝까지 쓰임 받습니다. 우리에겐 매일 새로운 언약이 필요한 것이 아닙니다. 처음 주님을 만났을 때 나에게 주신 말씀과 기도할 때 나에게 주신 언약을 끝까지 붙들고 가면, 비록 고난은 있을지라도 우리는 최후의 승리자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런 귀한 간증을, 우리도 '다윗'처럼 신앙의 다음세대에게 전해줄 수 있는 것이지요. 오늘 말씀을 기억하면서, 끝까지 하나님만 의지하고 바라보며, 곱게 물드는 단풍처럼 아름답게 사시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복합니다. - 정구윤 목사
댓글0개